“00때문에 제사를 받지 않았다”라는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답은 모릅니다만, 저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가인의 성품(성경구절에서 확인: 분하게 여김, 거짓말, 내가 아벨을 지키는 사람이냐...)을 볼 때, 제사드릴 때의 가인의 진심이 하나님께 들켰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자기가 준 선물을 기쁘게 받지 않았다고 해서 분노하면서 화를 드러낸다면, 그 사람은 어쩌면 대가(나의 오버하는 감사 반응, 감격하며 칭찬하는 말, 또는 이에 상응하는 선물 등)를 바랐기 때문이 아닐까요?
물론 조금 서운할 수는 있겠으나 분노할 것은 아니지 아닐까요? 더욱이, 진정한 선물(섬김)은 상대가 반응(감사의 표현, 사람들의 인정)을 보이지 않아도, “내가 그에게 기쁨을 주었다”는 것만으로 행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보이지 않는 속마음도 보실 수밖에 없는 속성을 지니신 하나님은 가인의 깊은 내면을 그 자리에서 저절로 대면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절대적인 선이신(죄의 티끌도 접하실 수 없는) 하나님은 자동적으로 이러한 가인의 제사는 받으실 수 없었던 것이지요. 사람처럼, 상대방의 마음을 배려해서 기쁘게 받는 척을 하실 수 없으십니다.
“00때문에 제사를 받지 않았다”라는 기록이 없기 때문에 정답은 모릅니다만, 저의 해석은 이렇습니다… 가인의 성품(성경구절에서 확인: 분하게 여김, 거짓말, 내가 아벨을 지키는 사람이냐...)을 볼 때, 제사드릴 때의 가인의 진심이 하나님께 들켰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만일 어떤 사람이, 자기가 준 선물을 기쁘게 받지 않았다고 해서 분노하면서 화를 드러낸다면, 그 사람은 어쩌면 대가(나의 오버하는 감사 반응, 감격하며 칭찬하는 말, 또는 이에 상응하는 선물 등)를 바랐기 때문이 아닐까요?
물론 조금 서운할 수는 있겠으나 분노할 것은 아니지 아닐까요? 더욱이, 진정한 선물(섬김)은 상대가 반응(감사의 표현, 사람들의 인정)을 보이지 않아도, “내가 그에게 기쁨을 주었다”는 것만으로 행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보이지 않는 속마음도 보실 수밖에 없는 속성을 지니신 하나님은 가인의 깊은 내면을 그 자리에서 저절로 대면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절대적인 선이신(죄의 티끌도 접하실 수 없는) 하나님은 자동적으로 이러한 가인의 제사는 받으실 수 없었던 것이지요. 사람처럼, 상대방의 마음을 배려해서 기쁘게 받는 척을 하실 수 없으십니다.
제가 보는 관점은 이렇습니다만… 여러분 스스로의 해석을 가져보길 바랍니다.